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정보처리기사
- 소프트웨어개발
- 게시판프로젝트
-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java
- 정처기필기
- 게시판만들기
- 게시판
- 코딩테스트
- 정처기설명
- 자바의정석
- 스프링부트
- 정처기
- springboot
- 정처기예상문제
- 파이선
- 스프링
- function
- 자바의정석요약
- 소프트웨어설계
- 이것이자바다
- 정처기공부
- CRUD구현
- 정보처리기사필기
- CRUD
- spring
- 자바
- 어노테이션
Archives
- Today
- Total
Helmi
서블릿 동작 원리 본문
서블릿 동작 원리
서블릿 실행은 이렇게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이루어 짐
서블릿의 라이프 사이클
- 수행속도가 빠르다 : 두 번째 이상 요청이 첫 번째 요청인 경우와 다르게 처리되기 때문
첫 번째 요청인 경우 서블릿 클래스 찾아 메모리에 로딩해 인스턴스(객체) 생성
이때 생성된 서블릿 인스턴스는 메모리에 계속 남아 이후부터 서블릿 호출 되어도 서블릿 인스턴스가 다시 생성x, 이미 메모리에 로딩된 서블릿으로부터 서비스만 받아 수행속도 빠름
- 객체 생성되면서 init()메소드가 단 한 번 호출 됨. init()메소드에서는 주로 초기화 작업 진행
- 클라이언트 요청 있을 때 doGet() 혹은 doPost() 메소드 실행
- 여러 클라이언트 동시 요청 하더라도 스레드 생성되므로 동시에 doGet()혹은 doPost()메소드 실행되므로 수행 속도 빠름
- 더이상 서비스 하지 않을 때 destroy() 메소드 호출.
ex) 서블릿 컨테이너가 종료(톰캣 재가동)되거나 서블릿 내용 변경되어 다시 컴파일해서 클래스 파일 바뀌는 경우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를 이용해서 간단한 회원가입 만들기(db:mysql) (1) | 2024.11.29 |
---|---|
서블릿 클래스 정의 (0) | 2023.06.12 |
서블릿 기초 (1) | 2023.06.11 |
JSP란? (0) | 2023.06.10 |
서블릿이란? (0) | 2023.06.09 |